(함양 8) 599
정여창 고택 1
개평(介坪)마을 지명은 두개의 개울이 하나로 모이는 곳에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유래된 지명이라고 한다. 풍수지리 적으로 배 형상을 띄고 있는 마을 형태로 인해 마을 사람들이 사는데 꼭 필요한 5개의 우물 외에는 일절 우물을 만들지 않았다고 한다. 개평마을을 대표하는 정여창 고택은 선생이 세상을 떠난 지 100년이 지난 후에 후손들이 중건했다고 한다(1843년). 정여창 고택은 원래 대지 3천 평에 99칸 17동의 건물이 있었지만 현재는 사랑채, 안채, 문간채, 사당 등 12동의 건물만 남아 있다.
고택 입구 솟을대문 안쪽으로 홍살문과 함께 붉은색 목판에 흰 글씨가 쓰여 있는 5개의 편액이 눈길을 끌었다. 이 편액은 나라에서 하사한 충효 정려(旌閭, 충신,효자,열녀가 살던 곳에 붉은색을 칠한 정문을 세워 표창하는 일)로 가문의 자랑이자 자부심을 표현하는 하나의 징표라고 했다. 정여창 선생의 조부를 비롯하여 후손들이 하사받은 정려가 무려 5개나 되었다는 것을 보면 그들의 충심과 효심이 대단했던 것으로 짐작이 되었다. 솟을 대문은 주지하다시피 당상관(정삼품 이상) 벼슬을 지닌 고위관료의 집에서만 들일 수 있는 문이기에 한편으론 그 당시 권세가의 위세가 느껴졌다.
입구 솟을 대문을 들어서면 기단 높은 축대 위에 당당하게 자리 잡은 앉은 사랑채가 가장 먼저 눈에 띈다. 문헌세가라는 편액과 일필휘지로 써내려간 '충효절의(忠孝節義)'라는 글이 사랑채 벽면에 붙어 있어 아주 특이했다. 한옥 건축물 벽체에 그것도 사랑채 전면 벽에 한지가 겹겹이 붙어 있는 형태로 세월의 흔적이 물씬 느껴지는 글씨가 예사롭지 않았다. 충효절의의 정신을 늘 마음속에 하루도 잊지 않고 살아가겠다는 다짐으로 여겨졌다.
한지에 쓴 글자의 색이 바래지거나 훼손 되면 그 위에 다시 한지를 덧대어 똑같이 필사해 두는 형식으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고 한다. 충효절의 정신을 끝까지 이어가겠다는 결기가 느껴졌다. 사랑채 누마루 앞에 조성한 화단이 특이했다. 거대한 소나무가 누마루와 거의 닿아 있는 형태로 조성되어 있고 작은 동산의 형태를 띄고 있어 의아 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해설사 설명) 인공으로 조성한 석가산 이라고 했다.
석가산은 돌을 쌓아 만든 산이란 뜻인데 작은 마당에 자연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정원을 만들어 누마루에서 풍류도 즐기고 자연을 관하며 마음을 정돈하는 시간을 가진 듯했다. 늘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한 부분으로 살아가는 것이 가장 좋은 삶의 방편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나 싶었다. 조성 당시의 석가산은 돌과 나무를 조화롭게 배치하되 엄격한 기준에 따라 인공의 산을 구현하였다고 하는데 지금의 모습은 조성 당시와는 크게 달라진 모습이라고 했다.
(2024.5)
현대 사회의 문제점은 공감능력이나 상상력의 결핍에 있다.(애덤 스미스, 도덕 감정론)
Gaepyeong Village's name originates from its location where two streams merge. The village, shaped like a boat, historically maintained only five wells. Jeong Yeo-chang’s historic house, a key site, was rebuilt by descendants in 1843, a century after his death. Originally comprising 99 rooms and 17 buildings on a 3,000-pyeong lot, it now includes 12 structures, such as the main quarters and shrine. The entrance features five plaques awarded by the nation, reflecting the family’s loyalty and filial piety. The grand gate indicates the family's high status.
Inside, the prominent Sarangchae features inscriptions like "Munheonsaga" and "Chunghyojeolui" on its walls, signifying loyalty and integrity. These writings are preserved by layering hanji paper over the originals, showing dedication to their values. The garden, with a large pine tree nearly touching the Sarangchae, includes a stone mound known as Seokgasan, an artificial mountain symbolizing harmony with nature. This garden allowed the family to enjoy nature and find peace, embodying their belief in living as part of nature. While the current Seokgasan differs from the original, it still reflects this tradition.
(2024.5)
Modern society's issues stem from a lack of empathy and imagination. (Adam Smith, The Theory of Moral Sentiments)
'산행기,여행기,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튼, 여행 책 출간 (0) | 2025.01.18 |
---|---|
(함양 9) 600 정여창 고택 2 (0) | 2025.01.18 |
(함양 7) 598 함양 개평마을 2 (0) | 2025.01.05 |
(함양 6) 597 함양 개평마을 1 (2) | 2025.01.05 |
(경주 6 ) 596 무첨당(無忝堂)과 심수정(心水亭)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