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행기,여행기,수필

(함양 9) 600 정여창 고택 2

(함양 9)  600

 

정여창 고택 2

 

 

정여창 고택 사랑채의 기단을 보통의 건축물보다 높게 들어 올려 사랑채 건물 전체를 웅장한 느낌이 들도록 하여 남성의 영역임을 드러나게 한 것은 이해가 되었으나 석가산을 만든 의도는 존중 되어야 하나 현대인의 시각으로는 어딘지 모르게 답답하고 어색하게 느껴졌다. 크지 않은 마당에 그것도 누마루 전면에만 자리 잡은 석가산은 한옥 건축물 전체를 답답한 느낌으로 만들었다. 크게 자란 소나무로 인해 건축물이 치이는 느낌까지 들었다. 조성 당시는 지금과는 확연히 달랐겠으나 마당 크기는 제한되어 있기에 한계는 있지 않았을까 했다.

 

원래 이런 모습이라면 차라리 영양의 서석지 처럼 연못을 들였으면 어떨까 싶었지만 풍수지리 적으로 우물을 많이 팔 수 없었기에 조금은 이해가 되었다. 누마루 내부에 탁청재(濯淸齋)라는 편액이 걸렸다. ‘탁한 마음을 깨끗이 씻는 집이란 뜻이다. 누차 말하지만 옛 선조 분들의 작명 솜씨는 여기서도 빛을 발했다. 매일 편액을 보고 가슴에 새기다보면 습관화 되어 그런 삶을 살게 되지 않을까 싶었다. 누마루 안쪽 대각선 위치에 있는 안 사랑채 건물이 다소곳했다. 며느리에게 살림을 물려주고 장손과 살던 어머니의 살림집이다. 주인의 효심과 자식을 잘 가르치려는 부정이 동시에 느껴졌다.

 

늘 안 사랑채를 바라보며 효심을 유지하고 자식을 잘 키워야 한다는 의무감을 새기지 않았을까 싶었다. 남성의 공간이 사랑채라면 안채는 여성의 공간이다. 성리학을 조선 개국의 정치이념으로 삼아 남녀유별을 유난히 강조했던 조선시대에는 남녀의 공간이 확실히 분리되어 있었다. 안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일각문과 중문을 통과해야 했다. 약간의 단차가 있었지만 안채는 의외로 넓고 밝았다. 잔디가 깔려 있고 빛도 잘 들어와 조선시대 폐쇄적인 여성의 공간이란 느낌이 전혀 들지 않았다. 오히려 사랑채가 조금 더 어두운 느낌이 들었다.

 

안채 마당 규모에 비해 제법 큰 우물이 눈에 확 들어왔다. 건축물을 지을 당시의 99칸 집에 걸 맞는 규모로 만든 듯했다. 안채에 딸린 건축물과 안채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만든 선홈통이 도드라졌다. 두 건물을 좀 더 이격하여 지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하는 생각과 동시에 서로 바짝 붙여 지은 이유가 갑자기 궁금해졌다. 안채는 정여창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과 곳간이 함께 있는데 건축물별로 창문과 대문의 형태가 조금씩 다 달랐고 미적으로도 아름답게 느껴졌다. 특히 일각문을 통해 들어오는 곳에 있는 곳간의 문들은 서로 조금씩 달라 문 하나에도 정성을 들인 느낌이 들었다. 미적 감각이 탁월한 소목의 솜씨가 돋보였다.

 

개평마을에는 정여창 고택 외에도 살펴 볼만 한 가옥이 많았으나 시간에 쫓기고 일부는 대문이 닫혀 있어 다 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대표적인 가옥 몇 채를 소개하고자 한다. 풍천노씨 대종가는 세조 때 청백리이자 대사헌, 형조참판 등을 지낸 송재 노숙동의 종가로 집 앞 뒤로 달린 툇마루와 간결한 가구 기법, 장식적 요소를 많이 가미한 특징을 지닌 집이다. 허삼둘 고택은 지역 토호인 윤대홍의 집으로 안채의 구성이 우리나라 전통 가옥으로는 유일하다고 할 정도로 특이한 평면구성을 지녔다. 당시의 시대상을 탈피하여 안채를 여성 중심의 공간으로 하여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한다. 그 외 하동정씨 고가, 오당고택, 노참판댁 고가 등이 있는데 각 각 서로 다른 개성을 지닌 모습이 볼 만하다.

 

(2024.5)

 

리더는 균형과 소통을 관리해야 한다. 이것을 관리 하는 것은 하나의 정교한 기술이다

(사피 바칼, 룬샷)

 

**Jeong Yeo-chang Historic House 2**

 

The elevated foundation of the Sarangchae in Jeong Yeo-chang’s house, designed to emphasize its grandeur and signify a male domain, is understandable. However, the rock garden (seokgasans) in front of the elevated wooden floor (numaru) feels somewhat stifling and awkward from a modern perspective. The small courtyard, dominated by the rock garden and a large pine tree, makes the entire structure feel cramped. While the initial intent might have differed, the limited courtyard space likely imposed constraints.

 

Considering this design, one might wonder if a pond, similar to the one at Seoseokji in Yeongyang, would have been more fitting. However, due to feng shui principles, digging multiple wells was restricted, which offers some explanation. Inside the numaru hangs a plaque reading "Takcheongjae," meaning "a house to cleanse a turbid mind." The ancients' naming skills shine here. Daily contemplation of this plaque might have inspired residents to live by its principles. Opposite the numaru is a modest building, the inner Sarangchae, intended for the owner’s mother and heir, reflecting filial piety and a nurturing environment.

 

In the Joseon era, which emphasized strict gender separation under Neo-Confucianism, the Sarangchae was for men, while the Anchae was for women. Accessing the Anchae required passing through an outer and a middle gate, though the Anchae itself was unexpectedly spacious and bright, contrary to the era’s stereotype of confined women’s quarters. The well, proportionate to the once expansive 99-kan house, was particularly noticeable. The close construction of the Anchae and its adjoining structures raised curiosity, though the placement highlighted aesthetic details, such as unique window and door designs, showcasing the craftsmanship.

 

Gaepyeong Village houses several noteworthy residences besides Jeong Yeo-chang’s. Time constraints and some closed gates limited exploration, but notable houses include Pungcheon No Clan’s main house, characterized by simple yet decorative design elements, and Heo Sam-dul’s house, notable for its unique, woman-centric layout, differing from traditional houses and offering significant academic value. Other notable homes include Hwadong Jeong Clan’s house, Odang House, and No Champan House, each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worth seeing.

 

**(May 2024)**

 

A leader must balance and manage communication, a delicate skill.

(Safi Bahcall, *Loonshots*)